X
서울교통공사가 역명병기 유상판매 사업의 공공성을 높이는 제도 개선을 완료했다고 18일 발표했다.
역명병기는 지하철 역명 옆이나 아래 괄호 안에 기관이나 기업 이름을 추가 표기하는 서비스로, 한글과 영문 병기를 원칙으로 한다. 출입구 역명판, 승강장 및 안전문 역명판, 전동차 단일노선도 등 8종 시설물에 표기되며, 하차역 안내방송에서도 기관명이 안내된다.
서울교통공사는 시설 노후화로 인한 안전 투자비 증가, 원가 대비 낮은 운임 수준, 무임수송 확대 등으로 재정 부담이 가중되면서 수익 다각화 방안으로 2016년부터 이 사업을 추진해왔다.
공공성 논란 해결 위한 제도 개선 단행
그러나 지난해 일부 역명병기 사업 낙찰 과정에서 지역 대표성 부족 등 공공성을 둘러싼 논란이 제기되었다. 이에 공사는 공공성 강화를 위한 심의 기준 계량화 등 제도 개선 작업을 완료했다.
개정된 '역명병기 유상판매 세부운영지침'에 따르면 2단계 심의 절차가 새롭게 도입된다. 1단계에서는 정량평가 70점(접근성·공공성)과 정성평가 30점(심의위원회 평가)을 합산해 100점 만점 기준 70점 이상을 획득한 기관에만 입찰 자격을 부여한다. 2단계에서는 자격을 획득한 기관 중 최고가 입찰자를 최종 낙찰자로 선정한다.
7개 역 대상 첫 개선 입찰 실시
제도 개선 후 첫 입찰이 19일부터 29일까지 실시된다. 대상역은 종각(1호선), 성수(2호선), 독립문(3호선), 신사(3호선), 마포(5호선), 수진(8호선), 을지로4가(2·5호선) 등 7개 역이다.
입찰 참여 조건은 해당 기관이나 기업이 대상역에서 1㎞ 이내(서울 시내 기준, 시외는 2㎞ 이내)에 위치해야 한다. 낙찰 기관은 3년간 해당 역에 기관명을 병기할 수 있으며, 재입찰 없이 1회 연장(3년)도 가능하다.
브랜드 홍보 효과와 높은 재계약률
역명병기는 지하철 역명을 활용한 효과적인 브랜드 홍보 수단으로 평가받고 있다. 현재 37개 역에서 기관이나 기업이 역명병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올해 기준 계약만료 역의 재계약률은 100%에 달한다.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는 "역명병기 유상판매 사업은 공사의 재정 건전화는 물론 참여 기관의 브랜드 가치 향상에도 기여한다"며 "합리적 비용으로 상징성 있는 역명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인 만큼 많은 관심과 참여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