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광주천 빗물터널 계획도. 영산강유역환경청 제공
환경부가 도심 침수 피해를 막기 위해 광주천에 대형 빗물 터널 설치를 추진하는 데 대한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7일 영산강유역환경청(영산강청)에 따르면 영산강청은 집중호우 시 하수도와 하천으로 몰리는 빗물의 60%를 저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총사업비 약 7천억원을 들여 2026년부터 타당성 조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광주천 빗물터널은 증심사천∼양동복개시장∼서방천 등 광주청 본류 구간 약 6㎞에 걸쳐 지하 30m 깊이에 건설되는 배수 시설이다.
그러나 이 사업이 실제 침수 저감에 얼마나 기여할 수 있을지를 두고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실효성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지난 7월과 8월 광주 도심 침수 피해는 주로 서방천과 용봉천 일대에서 발생했지만 이번 빗물터널은 광주천 본류 일부 구간에만 설치될 계획이어서 구조적 한계가 뚜렷하다는 지적이다.
또 방재 기능 외에 다용도 활용을 꾀할 경우 공사비 증가와 함께 막대한 유지관리비가 예상되며 악취 발생이나 오염물질 퇴적 등 부작용도 우려되고 있다.
광주환경회의는 이날 성명을 통해 "광주천 본류 일부에 설치되는 빗물터널은 실제 침수 피해 지역과 연결성이 부족하다"며 "구조적 한계가 명확한 만큼 실효성에 의문이 들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어 "같은 예산으로 침수 피해가 반복되는 지역에 빗물 저류조를 설치하거나, 투수 포장과 합류식 하수관 정비 같은 분산형 대안을 추진한다면 훨씬 실질적이고 지속 가능한 대응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단체는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시민의 동의와 참여"라며 "공론화 없이 추진되는 사업은 정당성을 가질 수 없는 만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영산강유역환경청 관계자는 "현재는 사업의 기본구상을 마련 중인 단계라 구체적인 것은 향후 타당성 검토를 통해 변동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