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서울 강남구는 일원동 189번지 광수산 일대 2만2천662㎡에 주민들의 숙원이던 '광평공원' 조성사업을 마치고 4일 개방한다고 밝혔다.
일원동~수서동에 걸친 광수산은 세종대왕의 아들인 광평대군의 묘역이 있는 곳으로, 서울 근교 왕가의 묘역 가운데 원형 보존이 잘된 곳으로 꼽힌다. 그러나 공유지와 사유지가 섞여 있어 개방되지 못한 채 도심 속 숨은 산림자원으로 남아 있었다고 구는 설명했다.
구는 올해 광평대군 탄신 600주년을 맞아 역사적 자원을 미래세대와 함께하는 공간으로 되살리겠다는 목표 아래 광수산 초입에 광평공원을 조성했다.
민관협력으로 104억원 예산 절감, 사유지 개방 성공
이 과정에서 삼성생명 등 토지 소유주와의 협의를 통해 약 1만960㎡ 사유지를 공원으로 개방해 예산 104억원을 절감했다. 보상 절차 대신 협력 모델을 구축한 민·관 협력 사례라고 구는 강조했다.
구는 이곳의 훼손된 토지를 복원하고 수목을 정비해 산책로, 잔디마당, 테마 정원 등 복합 문화공간으로 조성했다.
구 관계자는 "600년 만에 열린 광평공원은 숲 체험을 즐기는 도심 속 힐링 명소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인근 삼성서울병원 환자와 보호자에게도 치유와 휴식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왕북초 통학로 개선으로 안전성도 대폭 향상
아울러 구는 공원과 연결된 왕북초등학교 통학로도 개선했다.
이 구간은 차량 통행량이 많고 인도 폭이 좁아 안전사고 위험이 크다는 지적이 꾸준히 이어져 왔던 곳이다. 이에 구는 공원과 맞닿은 200m 구간 보도를 정비하고, 경관조명을 설치해 밤길 안전성을 확보했다. 가로변 띠녹지와 포켓쉼터도 조성했다.
X
공사를 마친 왕북초등학교 통학로. 강남구 제공
"구민 염원 실현된 상징적 공간…생태·문화 랜드마크로"
조성명 구청장은 "강남구 개청 50주년과 광평대군 탄신 600주년에 맞춰 탄생한 광평공원은 구민의 오랜 바람이 실현된 상징적 공간"이라고 말했다.
이어 "단순한 숲 개방과 통학로 개선을 넘어, 강남의 새로운 생태·문화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광평공원은 도심 속 녹지공간 확충과 역사문화자원 활용, 민관협력 모델 구축 등 다양한 의미를 담고 있어 향후 다른 지역 공원 조성사업의 모범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