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조경인 천 120 여명이 참가한 '2025 조경인 대축제'가 서울 보라매공원에서 막을 올렸다.

전국의 범 조경계 임직원들과 조경관련 학과 대학생들이 한자리에 모인 ‘2025 조경인 한마음 대축제'가 서울 보라매공원 장미광장에서 화려한 막을 올렸다.

(사)한국조경협회와 (사)한국조경학회·한국건설기술인협회· 조경기술인회가 공동 주최하는 이번 대축제에는 사전 등록과 현장 등록을 마친 조경인 천 120 여 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개막준비에 여념이 없는 축제 관계자들

조경협회 소속 84개사의 690명 뿐만 아니라 전국 22개 대학의 조경관련 학과 학생과 교수 등 430 여명이 참가해 조경인들의 즐겁고 행복한 '하루의 동행'을 돋보이게 했다.

남은희 조경협회장은 환영사에 이어 현장을 돌며 전국에서 온 조경 관련 인사, 학생들과 격려의 시간을 갖기도 했다.

참가자들은 봄·여름·가을·겨울팀으로 나눠 친목을 도모하고 단합의 시간을 가졌다.

특히 학생들이 조경분야의 다양한 회사와 일일 크루가 되는 경험을 할 수 있고, 취업 진로에 대한 고민을 선배와의 교류 시간을 통해 풀어나갈 수 있어 개막 전부터 많은 관심을 모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남은희 회장(오른쪽)과 여성분과 위원들이 폴리마켓 개장을 준비하고 있다.

협회 여성분과가 준비한 플리마켓에는 3백여점의 기부 물품이 쌓여 주인 찾기를 기다렸다. 김은희 여성분과 부회장은 기부품중 유명 브랜드의 가방 등 고가의 상품은 현장에서 경매를 통해 기부금을 모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운동장에서는 조경인들의 체력 증진을 위한 다양한 체육행사가 이어졌다.

장미광장 중앙에서는 '놀림픽'이 열려 전국에서 온 학생들과 조경인들이 팀을 이뤄 즐거운 게임을 펼쳤다. 또 멘토·멘티 행사인 '소통해유'에서는 많은 신청자들이 몰려 선배들의 경험을 후배들과 공유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가 이어졌다.

전국에서 온 시도 회장단이 현장에서 조경발전 간담회를 하고 있다.

2025 서울국제정원박람회와 연계하여, 정원박람회 설계 시공에 참여한 협회원들의 다양한 비하인드 스토리를 정원현장에서 직접 듣는 '정원동행' 프로그램도 많은 참여자들의 호평을 받았다. 10명씩 10개팀을 이룬 '정원동행' 참여자는 각 코스 안내를 맡은 작가들을 따라 기획단계부터 설계와 시공을 맡았던 이야기를 듣고 질의 응답 시간을 갖기도 했다.

이형석 소장이 자신의 정원 철학을 설명하고 있다.

4조를 인솔한 이형석 대표소장(본시구도)은 대우건설과 협업해 작가정원 가운데 가장 넓은 2000 평방미터의 정원을 조성했다고 말했다. 이 소장은 "회사이름 처럼 자연이 원래 있던 구도를 잘 살릴려고 노력했다"면서 "보라매 공원에 있던 구릉지와 유실수를 위치만 조금 옮겼을 뿐 존치를 극대화하는데 힘을 기울였다"고 말했다. 그의 작품은 '돌과 빛의 숲'이라 이름지었다. 이 소장은 "작품에 들인 돌은 DMZ 한탄강에서 현무암을 실어날랐다"고 덧붙이면서 "관람객들로부터 '시골 돌담길 느낌을 잘 살렸다'는 반응을 자주 듣는다"고 밝혔다.

서울시 정책과제인 '기후동행'을 주제로 한 정원 개념을 설명하는 최웅재 소장(왼쪽).

1조의 최웅재 소장(도감)은 서울시의 10대 정책 과제인 '기후동행'을 정원으로 표현하라는 과제에 당혹스러웠다고 실토했다. 최 소장은 "탄소저감이란 캠페인을 정원으로 꾸며보라는 과업지시에 '식물 자체가 탄소저감 효과가 있는데 50평 정도의 정원에서 이를 구현하느라 고민이 많았다"고 밝혔다. 그는 작품의 개념을 '지루해지자(get bored)'로 잡았다. 정원에서 무엇을 하기보다 '온전히 머무는 것'으로 탄소저감을 실천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고 설명했다.

개막전 식전행사로 열린 '요가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