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보성 봉강리 영광정씨 고택' 항공 사진. 국가유산청 제공
국가유산청은 '보성 봉강리 영광정씨 고택'을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할 계획이라고 2일 밝혔다.
영광정씨 고택은 정손일(1609년∼?)이 봉강리에 터를 잡은 이래 400여년간 이어져 온 곳으로, 호남지역 민가의 특징이 잘 보존돼 있다.
집터는 예부터 길지(吉地)로 꼽혔다. 한국 풍수지리의 시조 도선국사(827∼898)가 설명한 '영구하해'(신령스러운 거북이가 바다로 내려오는 형국) 중 거북의 머리에 해당한다고 여겨 '거북정'으로 불렸다.
호남 민가 특징 간직한 '이'자형 배치
영광정씨 고택은 안채와 사랑채가 마당을 사이에 두고 '이'(二)자형으로 배치됐다.
안채는 '요'(凹)자 모양으로 뒤쪽에 사적 공간과 수납공간을 뒀는데, 이는 보성 일대의 특징이자 당시 사회성을 잘 반영하는 공간으로 평가받는다.
X
삼의당·효열문 등 역사문화 유산 품어
고택은 주변 환경과 어우러져 역사·문화적 가치가 크다. 서측 계곡 건너에는 일제강점기 서당으로 기능하며 외부 손님을 맞고 제실 역할을 한 삼의당(三宜堂)이 있다.
1880년 호남 유림이 조정의 명을 받아 세운 광주이씨 효열문(孝烈門)도 근처에 위치해 있으며, 고택에서 바라보는 득량만 풍광도 뛰어나다.
X
항일·민족운동 현장 담은 역사적 가치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일제강점기 항일 운동 및 근대기 민족운동, 해방 후 이데올로기 사건 현장을 담고 있어 역사적·사회적 가치를 잘 보여주는 유산"이라고 평가했다.
국가유산청은 30일간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유산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 여부를 확정한다.
X
담장 거북정 와편(기와 조각) 장식. 국가유산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