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온실가스 감축 (PG) 사진합성·일러스트

국내 주요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최근 5년간 감소세를 나타냈지만, 정부가 국제사회에 약속한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은 현재 속도로는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5년간 14.7% 감소했지만…목표의 절반 수준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14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공시한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201개 기업의 전체 배출량은 2019년 4억9,153만t에서 2024년 4억1,951만t으로 14.7% 감소했다.

같은 기간 국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도 7억5,940만t에서 6억9,158만t으로 줄어들었으며, 조사 대상 201개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64.7%에서 60.6%로 4.1%포인트 낮아졌다.

그러나 문제는 감축 속도다. 한국 정부는 2021년 '2030 NDC'를 통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국가 전체 7억8,390만t) 대비 40% 감축하겠다고 국제사회에 공약했다.

2018년 대비 현재까지 감축률은 약 11.8%에 불과하다. 현재 추세가 지속될 경우 2030년에는 20% 안팎의 감축에 그쳐 목표치의 절반 수준에 머물 것으로 전망된다.

굴뚝산업은 감소, 신산업은 증가

5년간 배출량 변화를 살펴보면 106개 기업은 감소, 95개 기업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인 굴뚝 산업에서는 감축이 두드러진 반면, 에너지 사용이 늘어난 신산업 분야에서는 오히려 배출량이 증가하는 상반된 양상을 보였다.

감소율 상위 기업으로는 SKC가 1위를 차지했다. SKC는 2019년 17만3,964t에서 2024년 1,437t으로 99.2% 급감했다. 이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온산공장을 매각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이어 △DL이앤씨 77.6%(24만t→5만t) △한화 64.0%(18만t→6만t) △LG전자 62.4%(68만t→26만t) △아모레퍼시픽 61.3%(5만t→2만t) △SK케미칼 54.8%(49만t→22만t) 순으로 높은 감소율을 기록했다.

절대 감소량으로는 발전 5사(남동·동서·남부·서부·중부발전)를 비롯해 포스코, LG디스플레이, 현대제철, OCI, 롯데케미칼 등이 대폭 줄였다.

공기업 27.7% 감소, 2차전지·방산은 급증

업종별로는 공기업 부문의 감축 성과가 눈에 띈다. 공기업 전체 배출량은 2019년 2억1,161만t에서 2024년 1억5,302만t으로 27.7% 감소했다.

반면 배출량이 급증한 기업도 있다. 2차전지 소재 기업 엘앤에프는 같은 기간 419% 급증했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방산 부문 합병 영향으로 3만t에서 11만t으로 300% 이상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보험업이 5년 사이 82.2%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대기업 중심 실질적 감축 속도 내야"

리더스인덱스는 "국가 전체 배출량의 60% 이상이 여전히 대기업에서 발생하고 있다"며 "산업구조 개선을 통한 실질적 감축에 한층 속도를 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신산업 분야의 배출량 증가를 고려할 때, 전통 산업의 감축 노력만으로는 국가 목표 달성이 어려운 만큼 전 산업 분야의 종합적인 전환 전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2030년까지 남은 6년간 약 28%포인트를 추가로 감축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는 현재까지의 연평균 감축 속도(약 2.4%포인트)보다 2배 가까이 빠른 속도로, 보다 강력한 정책과 기업들의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