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군포시 청년공간 '플라잉'. 군포시 제공

국무조정실의 '청년친화도시 공모'에 군포시를 비롯한 경기도 내 14개 시군 지자체가 신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청년친화도시 사업은 청년정책 우수 운영 지역을 선정해 정부가 행정·재정 지원을 제공하는 제도이다.

2년간 연 2억5천만원씩 총 5억원의 국비가 지원되고 사업 컨설팅, 정부 연계 정책 자문, 각종 행정 지원도 이뤄진다.

도시의 미래가 청년에 달려있다고 판단한 지자체들이 앞다퉈 청년친화도시 지정 공모에 도전하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에서는 군포시, 안양시, 구리시 등 14곳이 지정신청서를 제출했다.

군포시는 지난달 부시장을 단장으로 청년정책 17개 부서·기관·단체 소속 21명으로 '청년친화도시 실무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가동해왔다.

시는 공모 신청서에 지역 산업 연계 청년 일자리 창출 및 창업 기반 강화, 청년 참여 거버넌스 강화, 청년주거 안정을 위한 패키지 사업 등 5개 핵심 사업 추진계획을 담았다.

군포시는 올해 3월 제2차 군포시 청년정책 기본계획(2025~2029년) 및 2025년 청년정책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5년간 376억원을 투입해 청년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청년정책 5개 분야, 47개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안양시는 민선 8기 5대 비전 중 하나로 '내일을 준비하는 청년특별도시 안양'을 목표로 여러 가지 청년정책을 시행해왔다.

올해는 481억원의 예산을 편성해 69개 청년정책 사업을 시행 중이다.

지역 현안에 청년들이 참여해 해결할 수 있도록 안양대, 연성대와 협약을 체결한 데 이어 청년 취 창업 지원 등 청년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사업을 마련 중이다.

X

안양시청사. 안양시 제공

구리시는 청년친화도시로 지정되면 청년이 지역 자원을 활용해 참여하고 즐기는 문화 기반 조성, 취·창업 및 미래 산업 대응 강화, 아이디어 실험과 창업 시범 공간 조성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미 구리시는 청년정책 기본계획(2022∼2026)을 기반으로 매년 시행계획을 세워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경기도는 14개 신청 시군 지자체 가운데 3곳을 선정해 오는 27일까지 국무조정실에 보낼 예정이며, 이후 국무조정실이 심사를 거쳐 12월 전국에서 3곳을 최종 선정한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