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1~9월 수도권 아파트 월세 상승률 6.27%…10년간 최고치
강화된 대출규제 영향으로 '전세의 월세화'가 가속하면서 수도권 아파트 월세가격 상승률이 최근 10년간 최고치를 기록했다.
28일 분양평가 전문회사 리얼하우스가 KB국민은행 월간 시계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1∼9월 기준 수도권 아파트 월세 상승률은 6.27%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7.25%, 인천 7.8%, 경기 5.23%의 상승률을 나타냈다. 같은 기간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률은 서울 2.08%, 경기 0.99%, 인천 0.39%로 월세 상승률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수도권 월세 상승률 6.27%…서울·인천 7% 넘어
수도권 월세가격은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소폭 등락하다가 임대차 3법이 시행된 2020년 1% 상승했고, 2021년에는 4.26% 올랐다. 이후 2022년 5.54%, 2023년 5.25%, 2024년 4.09% 상승을 기록했다.
아파트 전세가격이 포스트 코로나 이후 금리 상승 영향으로 2022년 0.04% 상승, 2023년 6.66% 하락했지만, 같은 기간 월세가격은 전세시장과 무관하게 움직이며 계속 강세를 이어갔다.
전국 주택 월세 거래 비중 첫 60% 돌파
월세 거래량도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1∼8월 전국 주택 월세 비중은 62.2%로 처음으로 60%를 넘어섰다. 특히 서울의 월세 비중은 64.1%로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이는 전통적으로 우위를 차지하던 전세 시장이 빠르게 위축되고 월세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X
리얼하우스 제공
대출규제·실거주 의무로 월세 전환 가속화
월세 비중 확대는 연이은 정부의 부동산 규제 정책과 직접적 연관이 있다. 지난 6·27 대출규제로 전세자금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반전세 등 월세를 선택하는 임차인이 크게 늘었다.
여기에 10·15 대책으로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돼 2년 실거주 의무가 적용되면서 임대 물량이 줄어들고 있다. 이는 전월세 가격 상승과 월세 비중 확대를 더욱 부채질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선아 리얼하우스 분양분석팀장은 "규제 강화로 전세금을 대출받아 충당하기가 어려워졌고, 의무 실거주 요건으로 임대 매물이 줄면서 어쩔 수 없이 월세를 선택하는 경우가 늘어날 것"이라며 "정책에 따라 필연적으로 가장 큰 피해를 보는 주거 약자를 구제할 정책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