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문화체육관광부는 31일 '함께 만드는 포용 사회, 문화다양성으로 성장하는 창의국가'를 비전으로 한 '제2차 문화다양성 보호 및 증진 기본계획'(2025∼2028)을 발표했다.

'문화다양성의 보호와 증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수립한 이 계획은 ▲ 국민이 공감하는 문화 간 공존 ▲ 새로운 문화를 이끄는 문화자산 확충 ▲ 지속가능한 문화다양성 생태계 조성 등 3대 추진 전략으로 구성됐다.

이번 기본계획은 지난 2021년 5월 발표한 제1차 기본계획(2021∼2024)에 이어 사회적 갈등 완화와 지역 균형발전, 포용적 문화 구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체부는 다양한 '사회적 포용성 프로그램'으로 공존이 가능한 문화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다문화교육센터를 찾는 이주민들이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다문화 꾸러미'를 보급할 계획이다. 또 이주민들이 공동체 일원으로서 우리 사회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가칭 '문화다양성 거점도시'를 선정해 지역과 연계한 문화다양성 주간 행사를 확대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찾아가는 문화다양성 교실' 운영, 교원 대상 문화다양성 교과 연구 지원도 실시한다.

새로운 문화를 이끌 문화자산으로는 한복, 한지, 국악, 전통무용, 민화 등을 꼽았다.

일상 속 한복 입는 문화를 확산하고 한지 활용 문화상품을 개발할 계획이다. 또 국악·전통무용·민화 등 한국 고유의 예술 분야에 대한 인공지능(AI) 학습용 데이터를 구축해 문화예술 생태계 혁신과 확장을 지원하는 연구를 추진한다.

이와 별개로 독립예술영화, 인디게임, 다양성 만화의 창작·유통을 지원해 콘텐츠 분야에서의 문화다양성도 확보할 방침이다.

문화다양성을 지속하기 위한 전략도 수립했다.

전국 문화예술회관이 지역 고유의 문화자원을 활용해 분야별로 특화된 콘텐츠를 제작하고 공연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내년 한국에서 최초로 열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를 계기로 유네스코 세계 문화 및 자연유산 보호를 위한 담론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이외에 문화다양성 지수를 개발하고, 모델 사례를 발굴해 인증하는 '문화다양성 인증제'를 도입한다. 문화다양성 조례 제정 지원 등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정책 연계도 강화하기로 했다.

최휘영 문체부 장관은 "K팝과 영화, 드라마, 문학 등 K-컬처는 고유성, 독창성, 보편성으로 세계 문화다양성에 기여하고 있다"며 "드높아진 문화의 힘으로 서로를 포용하고 전 세계와 연대하는 문화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이번 계획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