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수원시가 공공 현수막의 친환경 전환을 본격화하며 자원순환과 탄소중립 실현에 박차를 가한다.
시는 지난 4월, ‘수원시 현수막의 친환경 소재 사용 촉진 및 재활용 활성화 조례’를 제정하고, 이달부터는 친환경 현수막 사용을 장려하는 동시에, 2026년 7월부터는 공공기관의 친환경 현수막 사용을 의무화하기로 했다. 이 조례는 박현수 시의원이 발의했다.
의무 적용 대상은 수원시 본청과 4개 구청, 55개 동 행정복지센터, 수원시의회 등이다. 이를 통해 공공영역에서 먼저 친환경 소재 사용의 표준을 정립하고, 민간 부문으로의 확산 기반을 마련할 방침이다.
‘친환경 소재’는 자연 분해가 가능하거나, 바이오기술 및 탄소 저감 기술을 활용해 제조 공정에서 에너지 소비와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한 원단을 말한다. 기존 플라스틱 합성섬유보다 환경 영향을 줄인다는 점에서 최근 다수 지자체와 시민사회에서 주목받고 있다.
수원시는 또한, 상업용 현수막 경쟁률이 높은 신동사거리와 영통9단지 롯데아파트 앞 지정 게시대 2곳을 '친환경 현수막 전용 지정 게시대'로 선정하고, 오는 11월부터는 해당 게시대에 친환경 현수막만 게시할 수 있도록 제한한다. 이는 민간 부문까지 친환경 현수막 전환을 유도하기 위한 상징적 조치로 해석된다.
이와 함께 시는 폐현수막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사업도 적극 발굴·추진하고 있다. 버려지는 현수막을 가방, 방수포, 놀이기구 커버 등 실용품으로 제작하는 사업으로, 지역 내 사회적 기업·환경단체와의 협업도 모색 중이다.
수원시는 향후 친환경 현수막에만 부착 가능한 시 고유의 인증 마크도 도입해, 시민들의 인식을 제고하고 품질 관리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수원시 관계자는 “공공기관부터 친환경 현수막 사용을 제도화함으로써 탄소중립과 자원순환 실현의 기반을 다질 것”이라며,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인식 전환이 함께할 때,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 수원이 완성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