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용산구 문배동 30-10 일대 개발 예상 조감도.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주요 역세권 지역의 대규모 개발사업을 잇달아 승인하며, 도시 경관과 주거환경의 획기적 변화를 예고했다. 시는 10일 제12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통해 4개 지역의 지구단위계획을 수정 가결했다고 밝혔다.

용산 삼각지역: 오리온 공장부지에 37층 주상복합 조성

가장 주목받는 개발사업은 용산구 문배동 30-10 일대 '삼각지역 역세권 활성화사업'이다. 현재 오리온 공장부지로 사용되고 있는 이 지역에 지하 5층∼지상 37층 규모의 대규모 주상복합시설이 들어선다.

4·6호선 삼각지역 환승역세권에 위치한 이 지역은 용산 광역중심에 있으며, 주변에 전자상가와 국제업무지구, 캠프킴 부지, 용산공원 등이 있어 향후 획기적인 변화가 예상되는 핵심 지역이다.

복합시설에는 오피스텔 212실, 공동주택 156세대, 오피스, 근린생활시설이 들어서며, 특히 클라이밍, 농구, 풋살, 인라인스케이트 등을 즐길 수 있는 연면적 총 4천㎡의 공공체육시설(다목적체육관)도 설치된다.

교통 인프라 개선도 함께 추진된다. 남측 도로를 신설해 주변 청파로, 백범로 등을 통해 사방으로 연결되는 원활한 차량 동선을 확보하고, 삼각지 고가차도와 연계한 공중보행데크를 만들어 보행환경을 개선한다. 삼각지역에서 고가를 이용해 철도 상부를 횡단하는 보행자들이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를 통해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 사업은 건축위원회 심의 등 인허가 절차를 거쳐 내년 하반기 착공 예정이며, 2029년 준공을 목표로 한다.

둔촌동역 주변: 지구단위계획구역 10만㎡ 확대

지하철 5호선 둔촌동역 일대에서는 올림픽파크포레온 입주 완료로 인한 유동 인구 증가 등 지역 여건 변화에 대응하는 계획이 승인됐다.

양재대로변의 계획적 관리를 위해 지구단위계획구역을 북측으로 약 10만㎡ 확대하고, 업무·의료시설 등 주민생활지원기능을 권장(특화)용도로 유도했다. 최대 개발규모 폐지와 업무시설 용도완화를 통해 지역 내 신축을 유도하고 적극적인 환경 개선이 이뤄지도록 했다.

특별계획구역은 기존의 공동주택 불허 규정을 완화해 주거복합을 허용함으로써 사업 실현성을 높였다. 역세권 중심의 고밀개발과 공공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도록 전통시장 등 지역 특성을 반영한 공공기여 확보 방안도 제시했다.

이면부는 운동·교육 관련 시설을 특화용도로 계획하고, 전통시장 인근 먹자골목 주변은 음식점 등 가로활성화시설 도입시 주차장 설치기준을 완화한다.

X

둔촌동역 주변 지구단위계획 대상지. 서울시 제공

독산 지구단위계획: G밸리 배후주거지역으로 주거공급 기반 마련

독산 지구단위계획구역 변경은 시흥대로변 개발 여건 강화와 범안로 보행 여건 및 주거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그간 구역 내 준공업지역에서 불허 용도로 지정됐던 공동주택을 허용해 G밸리 배후주거지역으로서 주거공급 기반을 마련한다. 시흥대로와 독산로를 연결하는 범안로변 일대를 지구단위계획구역에 추가 편입하고, 저층부 가로활성화 등을 통해 보행 환경을 개선한다.

신설되는 신독산역 지하철 출입구와 연결되는 보행친화가로 조성을 유도하는 계획도 세웠다.

개봉역 지구단위계획: 광장 환경 개선과 거점 기능 강화

개봉역 지구단위계획 변경은 유동 인구가 많아 혼잡한 개봉역 광장 환경을 개선하고, 인근 공동주택 개발사업이 활발한 점을 고려해 중심지로서의 거점 기능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개봉역 광장에 연접한 노후 건축물을 특별계획가능구역으로 지정하고, 버스정류장이 점유해 협소해진 광장을 확장하며, 지하철 출입구를 신설해 통학·출퇴근 인구를 분산한다. 문화·체육시설을 유도해 광장 일대를 지역 커뮤니티 중심 공간으로 탈바꿈시킬 예정이다.

또한 군사시설(개봉레이더) 운용 종료에 따라 완화된 고도 제한과 주변 지역 개발로 인한 변화를 고려해, 간선부 60∼70m, 이면부 40∼50m로 제한했던 높이를 간선부 120m, 이면부 100m로 조정했다.

이번 승인으로 서울의 주요 역세권 지역이 교통 중심의 복합거점으로 탈바꿈하며, 주거·업무·상업·문화 기능이 집적된 미래형 도시공간으로 변모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