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기묘한 동물들' 채널의 쇼츠 영상 [유튜브 캡처]
원숭이 한 마리가 나무 위에서 바나나를 먹고 있는데, 코끼리가 다가가 원숭이를 내려오게 한 뒤 나무를 부러뜨린다. 코끼리는 원숭이를 공격하는 치타를 쫓아낸 뒤 바나나 다발을 들고 그 원숭이를 다른 원숭이 무리에게 데려다준다. 그러고는 원숭이 무리를 자기 등에 태운 채 다른 나무를 향해 이동한다.
30일 유튜브채널 정보를 제공하는 플레이보드에 따르면, 지난 16일 유튜브에 올라온 1분 2초짜리 이 쇼츠 영상은 지난 18~24일 1주일간 2천148만 조회수를 올려 이 기간 한국에서 가장 많은 조회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 진짜 같은 가짜', AI로 만든 동물 드라마의 정체
아프리카 초원에서 벌어진 일을 근접해서 담은 듯한 이 영상은 실제 동물들의 모습이 아니다. AI(인공지능) 등 디지털 방식으로 생성됐거나 상당히 수정된 콘텐츠라고 콘텐츠 소개에 적혀있다.
이 영상을 올린 채널 '기묘한 동물들'도 "진짜 동물 영상 채널이 아니다. 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늘 새로운 드라마가 펼쳐지는 이상한 곳"이라고 스스로 소개하고 있다.
유튜브의 AI 콘텐츠 공개 정책
유튜브는 지난해부터 크리에이터가 동영상에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사용해 '변경 또는 합성'했는지 여부를 공개하도록 하고 있다. 공개하지 않을 경우 삭제되거나 수익 공유 프로그램에서 제외될 수 있다.
이와 관련, 유튜브 제품 관리 담당 부사장인 제니퍼 플래너리 오코너는 2023년 11월 "생성형 AI는 유튜브에서 창의성을 발휘하고 시청자와 크리에이터의 플랫폼 경험을 혁신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면서도 "그러나 그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유튜브 커뮤니티를 보호해야 할 책임과 균형을 이뤄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하지만, 적어도 조회수 측면에서 볼 때는 시청자가 실제 영상이냐 AI 영상이냐를 크게 상관하지 않는 분위기다.
'할머니 영어회화' 열풍으로 번진 AI 쇼츠
'10초 영어회화' 채널은 할머니가 외국인과 우리말과 영어로 대화를 나누는 AI 쇼츠 영상을 내세워 지난달 말 채널을 개설한 이후 한 달여 만에 구독자 7만여명, 53개 동영상 조회수 합계 1천600만회를 기록했다.
이러한 성공 사례는 AI 기술의 발전으로 일반 크리에이터들도 전문적인 제작 기술 없이도 매력적인 콘텐츠를 만들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한국적 정서와 영어 학습이라는 실용적 목적이 결합된 형태로 많은 공감을 얻고 있다.
정치권까지 뛰어든 AI 콘텐츠 경쟁
정치권도 AI 쇼츠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개혁신당 이준석 대표는 최근 할머니와 외국인의 영어 쇼츠 영상 유행을 언급하며 "개혁신당도 AI 영상을 활용해 이런 흐름에 올라타 보겠다"며 AI로 만든 16초짜리 영상을 올렸다.
이 대표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정치 이슈를 쉽고 재미있게 풀어 드리겠다"며 "재미있는 아이디어가 있으면 언제든 보내달라"고 덧붙였다.
이는 정치인들이 젊은 세대와의 소통을 위해 새로운 디지털 플랫폼과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AI 기술의 대중화로 콘텐츠 제작의 진입장벽이 낮아지면서, 정치 커뮤니케이션 방식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X
'10초 영어회화' 채널의 AI 영상 목록 [유튜브 캡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