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오세훈 서울시장이 27일 서울 중구 서울시의회에서 열린 제322회 시의회 임시회 개회식에 참석하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9월 정식 운항 예정인 한강버스와 관련 사업이 전반적으로 지연된 데 대해 강력한 감사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29일 밝혔다.
오 시장은 이날 서울시의회 제332회 시의회 임시회 시정질문에서 이영실(더불어민주당·중랑1) 의원의 한강버스 관련 질문에 "9월 18일로 첫 운항이 예정돼있는데 그때까지 운항에 차질 없게 하겠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특히 한강버스 선박 건조를 경험이 없는 신생 업체에 맡겨 제작이 지연되고 비용도 급증했다는 지적에 "(사업이 지연되면서) 중간에 실무자들도 업체를 바꾸고 싶었을 것"이라며 "(업체를) 바꾸면 오히려 기간과 비용이 더 늘어나니 참을 수밖에 없다는 취지의 보고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당시에 합리적 판단이라 용인했고 이 사업이 끝나면 과정 전체에 대해 강력한 감사를 실시하겠다"며 "누구의 책임인지 어떻게 문제 있는 업체가 당시에 선정됐는지 명명백백하게 밝힐 생각"이라고 말했다.
한강버스는 마곡·망원·여의도·잠원·옥수·뚝섬·잠실 7개 선착장을 오가는 친환경 수상 대중교통으로, 현재 2척이 시범 운항 중이다.
당초 지난해 10월 정식 운항 예정이었으나 선박 건조와 인도가 늦어지며 올해 9월로 정식 운항이 미뤄졌다.
오 시장은 또 한강버스 사업에 참여하는 민간사업자인 이크루즈가 지분만 출자하고 사업비를 제대로 투입하지 않고 있다는 박수빈(민주당·강북4) 의원의 지적엔 "그래서 지분 비율을 변화시켰고, 투자한 만큼 권한을 행사하도록 계속 공정하게 바꿔가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오 시장은 "어떤 사업이든 동업 관계에선 위험과 손실을 나눠 가져야 함께 누릴 자격이 있다"며 "기여한 만큼 누린다는 원칙을 지키겠다"고 강조했다.
한강버스 사업은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와 이크루즈가 각각 51%, 49%의 지분을 출자해 합작법인 ㈜한강버스를 세워 추진 중이다.
그러나 이크루즈는 지분 출자금 49억원만 낸 뒤 선박 건조비 등 사업비를 투자하지 못했고, SH가 지금까지 수백억원을 한강버스에 대여해 재정 부담만 커지고 있다는 비판이 나왔다.
이러한 지적에 시는 의결권을 갖는 지분을 SH 75%, 이크루즈 25%로 조정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크루즈의 권한 행사를 제한하기 위한 장치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