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위성곤 의원실 제공
우리나라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10명 중 7명은 실제 업무에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경험이 있지만, 행정기관이 작성하는 문서의 90% 이상은 AI가 읽기 어려운 포맷으로 작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문서 91% HWP·스캔PDF 등으로 작성
위성곤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13일 공개한 '공공분야 AI 활용 현황'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행정기관 종사자 1만4,208명 중 91.1%가 보고서·계획서 등 행정문서를 주로 HWP(한글)나 이미지·스캔 PDF 등 AI가 인식하기 어려운 형식으로 작성하고 있다고 답했다.
전체 응답자의 68.9%는 챗GPT, 클로드, 코파일럿, 제미나이, 하이퍼클로바X 등 생성형 AI를 실제 업무에 활용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AI 활용 용도(복수응답)는 자료 검색·정리(41.5%), 행정문서 작성·요약(30.8%), 회의록·보고서 요약(14.1%), 녹취록 요약(5.6%) 순이었다.
절반 이상 개방망 사용…정보 유출 우려
그러나 인터넷망 등 외부 개방망을 통한 사용 비율이 높아 정보 유출 우려도 제기됐다.
AI를 사용하는 공무원 1만2,738명 중 인터넷망(개방형 망)에서 사용한다는 응답은 54.5%로 절반을 넘었다. 인터넷망과 업무망을 병행한다는 응답(12.9%)까지 포함하면 외부망 활용 비율은 67.5%에 달했다.
X
AI 활용 교육 기반 미비…60% "교육 받은 적 없다"
AI 활용을 위한 교육 기반도 미비한 것으로 드러났다.
프롬프트 작성법 등 AI 도구 활용 역량을 위한 교육을 연 4회 이상 이수한다고 답한 공무원은 전체(1만4,208명)의 1.3%에 불과했고, 가끔 이수(연 1~3회)는 39.4%, 교육을 받은 적 없다는 응답은 59.4%에 달했다.
개인정보 보호·윤리·보안 등 가이드라인 관련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다는 응답도 39.6%에 그쳤다.
위성곤 의원은 "행정문서 대부분이 AI가 읽지 못하는 형식에 묶여 있다는 것은 AI 정부 전환의 걸림돌"이라며 "공공문서를 AI-Ready(레디) 포맷으로 전환하고, 메타데이터·API 연계를 통해 호환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폐쇄망 기반의 행정 전용 AI 환경을 마련해 보안을 강화하고, 실무형 교육과 제도적 지원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7일부터 이달 6일까지 중앙부처, 광역·기초자치단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