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춘천 호수지방정원조성사업 비전 선포식. 춘천시 제공
춘천시가 12일 정원도시로의 본격적인 변신을 알리는 비전선포식을 개최했다.
시는 이날 시청 대회의실에서 '호수지방정원 조성사업' 비전선포식과 용역 최종보고회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시민 참여로 시작된 상징적 세리머니
이날 행사는 시민들이 전달한 씨앗 오브제를 심는 상징적인 세리머니로 막을 올렸다. 작은 씨앗에 담긴 희망 메시지가 앞으로 정원으로 자라 도시 전체로 확산된다는 의미를 담은 것이다.
이어 진행된 용역 최종보고회에서는 춘천호수지방정원의 전체적인 공간 구상안이 공개됐다. 정원은 방문객들이 다양하게 즐길 수 있도록 루트 A, B 두 개 코스로 나뉘어 조성된다.
X
정원도시가 추진될 예정인 춘천 상중도. 춘천시 제공
A코스: '춘천다움' 테마의 플로팅 아일랜드 핵심
A코스는 '춘천다움'을 소개하는 테마로 설계됐다. 첫 진입공간은 웰컴가든과 가든빌리지로 구성해 시민들이 축제와 휴식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특히 호수 위 세 개의 섬을 형상화한 '플로팅 아일랜드'가 A코스의 핵심 시설로 주목받는다. 첫 번째 섬은 춘천의 숲과 상고대를 연상시키는 '숲의 정원', 두 번째 섬은 수경시설과 물안개 경관을 연출하는 '물의 정원'으로 꾸며진다. 마지막 세 번째 섬은 능선 형태의 마운딩과 곡선형 동선을 활용한 '산세의 정원'으로 구성될 계획이다.
X
춘천 호수지방정원조성사업 비전 선포식. 춘천시 제공
B코스: 윤슬아트가든과 카약킹 체험공간
B코스는 습지와 수변 환경을 최대한 활용한 '윤슬아트가든' 구역으로 조성된다. 시시각각 변하는 풍경을 조망할 수 있는 쉼터와 잔잔한 호수를 따라 걷는 수변산책로가 주요 동선으로 마련된다.
특히 물 위를 직접 즐길 수 있는 카약 선착장과 '카약킹 아일랜드'가 설치돼 방문객들이 정원을 새로운 시각에서 체험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번 구상은 의암호 수자원과 상중도의 생태환경을 최대한 보존하면서도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 누릴 수 있는 지속가능한 정원도시 모델 구현에 초점을 맞췄다고 춘천시는 설명했다.
춘천시는 이번 비전선포식을 계기로 참여형 정원도시 모델을 본격 추진한다. 오는 10월 1일 상중도 현장에서 착공식을 열어 사업에 본격 착수할 계획이다.
총 18만㎡ 부지에 154억원이 투입되는 호수지방정원은 2027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육동한 춘천시장은 "오늘 심은 작은 씨앗이 시민 모두의 꿈으로 자라 도시 전체로 퍼져나갈 것"이라며 "정원은 시민에게 힐링과 사색, 축제의 무대를 선사하는 만큼 이번 비전선포식이 정원도시의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