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경쟁사 앤스로픽이 미국 인공지능(AI)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중국 기업이 다수 지분을 보유한 기업에는 AI 서비스 판매를 중단한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FT는 이 회사의 한 임원을 인용해 앤스로픽이 중국 군사 및 정보 기관이 자사의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제한하려 한다고 전했다.
이 임원은 "중국 기업들이 첨단 AI에 접근할 수 있는 허점을 막는 조치"라면서 러시아, 이란, 북한 등 미국의 적대국에도 적용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고객사와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앤스로픽의 서비스에 접근하는 기업들이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자사의 매출에 미치는 영향은 "수억 달러 규모"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중국이 초음속 무기부터 핵무기 모델링에 이르기까지 군사 목적으로 AI를 활용한다는 미국 내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는 중국의 미국 AI 확보를 막기 위해 포괄적인 수출 통제를 시행했지만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미중 정상회담을 추진하는 가운데 아직 새로운 수출 통제를 내놓지 않았다고 FT는 전했다.
사안을 잘 아는 한 관계자는 앤스로픽의 정책은 점점 많아지는 싱가포르 내 중국계 기업들을 일부분 겨냥했다면서 "바이트댄스, 알리바바, 텐센트 같은 기업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2021년 오픈AI 출신들이 창업한 앤스로픽은 AI 모델 '클로드'를 내놓으며 오픈AI의 대항마로 부상했다. 클로드는 챗GPT와 함께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AI다.
최근 앤스로픽은 130억달러(약 18조1천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면서 기업가치를 1천830억달러(약 255조원)로 끌어올렸다. 설립 때부터 투자한 구글이 지분 14%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에서는 챗GPT, 클로드, 구글 제미나이 등 미국 AI에 대한 접근이 금지돼 있다. 하지만 가상사설망(VPN)을 통해선 접근할 수 있다고 FT는 보도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