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서울특별시청 로고
서울시가 토지의 생태적 특성을 공간적으로 나타낸 '2025 도시생태현황도'(비오톱 지도)를 완성하고 21일 공식 발표한다고 20일 밝혔다.
시는 지난 4~5월 정비안을 공개하고 시민들의 의견을 들었다. 이후 관련 부서 검토와 도시생태현황도 평가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지도를 완성했다.
2000년 전국에서 처음 만든 이후 5년 만에 새롭게 정비한 이 지도는 변화하는 도시환경과 생태 조건을 반영해 개발과 보전의 균형을 맞추는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비오톱 1등급 토지 지정 기준 개선
이번 지도의 가장 큰 특징은 서울시 규제완화 정책 중 하나인 '비오톱 1등급 토지 지정 기준 개선'을 적용한 점이다. 비오톱은 동식물이 함께 살아가는 생물 서식지를 말한다.
새로운 기준에서는 대지 조성 이력, 땅의 경계, 실제 토지 사용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 이로 인해 건축이 가능한 땅임에도 비오톱 1등급으로 지정되어 개발이 막혔던 문제를 해결했다.
구체적으로 ▲건물이 들어선 사유지 중 도시계획시설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실제 도로로 사용되고 있는 '도로' 지목 필지 ▲도시개발사업구역 내에서 도시계획이 이미 세워진 '획지' ▲비오톱 1등급 토지와 겹치는 면적이 100㎡ 미만인 경우(단, 산림지 등 내부에 있는 경우는 기존 경계 유지) 등이 비오톱 1등급에서 제외됐다.
토지 활용의 합리성 높아져
시는 이번 정비를 통해 규제가 합리적으로 개선되었다고 평가했다. 그동안 건축이나 재산권 행사 과정에서 시민들이 겪었던 제약이 줄어들고, 토지 활용이 더 합리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새로운 도시생태현황도는 서울도시공간포털(map.seoul.go.kr) 지도서비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앞으로도 시민 의견을 폭넓게 들어 도시생태현황도를 도시계획과 생태보전 정책에 연결해 지속 가능한 서울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