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환경부가 봉제공장에서 발생하는 폐원단을 시멘트공장에서 소각해 시멘트 제조용 열원으로 활용하는 '열적 재활용'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하지만 이런 방식이 과연 진정한 재활용인지를 두고 국내외에서 논란이 거세다.
방직업체-시멘트업체 손잡고 폐원단 재활용 시범사업 출발
환경부는 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방림·세왕섬유·신한방직 등 방직·원단업체와 쌍용씨앤이·아세아시멘트 등 시멘트업체, 한국섬유자원순환협회와 함께 폐원단 재활용 시범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시범사업은 2단계로 나뉘어 진행된다. 1단계에서는 봉제공장 등에서 발생한 폐원단 중 천연섬유 등 물질 재활용이 가능한 것들을 솜으로 가공해 원사·원단·의료제품 원료로 재사용한다. 2단계에서는 나머지 폐원단들을 시멘트공장으로 보내 시멘트 제조 시 연료로 활용하는 '열적 재활용'을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시멘트공장에서는 폐원단을 소성로에서 태워 시멘트 원료를 1천450~2천도의 초고온으로 가열하는 데 필요한 열원으로 사용하게 된다.
'친환경 vs 미세먼지 배출' 놓고 시각차 팽팽
열적 재활용을 둘러싼 시각은 극명하게 갈린다. 시멘트업계는 이 방식이 환경친화적이라고 주장한다. 소성로의 초고온에서 폐기물이 완전 연소되어 유해물질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소각 후 남은 재까지 재활용할 수 있어 일반 폐기물처리시설에서의 소각보다 친환경적이라는 것이다.
반면 환경단체와 일부 전문가들은 소성로에서의 폐기물 소각이 미세먼지 원인 물질인 질소산화물(NOx)을 다량 배출한다며 친환경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또한 소각열을 지역난방 등에 활용하는 폐기물처리시설도 많아 열적 재활용이 시멘트공장만의 장점은 아니라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로 현재 시멘트 소성로의 질소산화물 배출 허용기준은 270ppm으로, 폐기물 소각시설 기준(50ppm)보다 5배 이상 완화되어 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시멘트 소성로 기준을 135ppm으로 강화할 예정이지만, 여전히 일반 소각시설보다는 느슨한 수준이다.
국제적으로는 '열적 재활용은 재활용 아니다' 인식 확산
국제사회에서는 열적 재활용을 재활용으로 인정하지 않는 추세가 뚜렷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재활용을 '폐기물을 원래와 같은 유형의 제품으로 재가공하거나 유사한 성질의 제품으로 재가공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는 재활용 범주에서 제외하고 있다.
유럽연합(EU) 역시 OECD와 비슷한 입장이다. EU는 '에너지를 회수하거나 연료 등으로 사용하기 위한 재가공'을 재활용에서 배제하며, 물질 자체를 새로운 제품으로 변환하는 것만을 진정한 재활용으로 인정하고 있다.
이런 국제적 기준을 고려할 때, 환경부의 폐원단 열적 재활용 정책이 과연 지속가능한 방향인지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