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착수식. 연합뉴스

한국을 대표하는 독자적인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추진 중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9일 서울 중구 르메르디앙 서울 명동에서 참여 기업들과 함께 프로젝트 착수식을 개최했다.

행사에는 배경훈 장관과 박윤규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원장을 비롯해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이연수 NC AI 대표, 임우형 LG AI연구원 원장 등 참여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해 AI 주권 확보 의지를 다졌다.

정부는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의 목표를 글로벌 최고 성능(SOTA·State-Of-The-Art) 급으로 설정하고 있다. 배 장관은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착수식을 하려니 가슴이 뛰는 동시에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며 "우리나라 많은 개발자가 큐원, 라마 등 해외 모델을 제치고 5개 정예팀의 모델을 쓸 수 있는 날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관협력으로 GPU 20만장 확보 계획…글로벌 진출 목표

배 장관은 "소버린 AI를 이야기하지만 세계 최고 수준의 모델을 만들어 글로벌로 나아가고 포용적인 AI로 발전해야 한다"며 "2028년까지 그래픽처리장치(GPU) 5만장 확보 계획에서 나아가 민관 협력을 통해 2030년까지 20만장까지 확보해보자는 계획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각 기업 대표들도 야심찬 목표를 표명했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장애인, 농민 등 모든 국민의 삶, 국가 산업, 학교나 연구를 위해 AI 모델을 어떻게 발전시킬지, 국가대표 AI라는 말에 걸맞은 자격을 갖추기 위해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는 "압도적인 지원을 받게 되는 기회를 글로벌에서 주목받는 프론티어 모델을 우리 데이터, 기술로 성공시키는 기회로 반드시 연결하겠다"며 "파운데이션 모델은 미국, 중국만 할 수 있다고도 말하는데 우리 기술로 모델을 만들 수 없다면 AI는 모래성과 같다"고 강조했다.

연말 1차 평가로 4팀 선별…단계별 경쟁 시스템 도입

이날 착수식에서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5대 컨소시엄에 선정됐음을 증명하는 'K-AI 앰블럼' 수여식도 진행됐다. 5개 참여 컨소시엄 기업들은 이 앰블럼을 회사 홍보 등에 활용할 수 있다.

행사에서는 개발될 AI 모델을 공공·경제·사회 등 전 분야 인공지능 전환(AX)에 활용할 방안과 '모두의 AI' 생태계에 기여할 방안 등도 논의됐다.

5개 정예팀은 올해 말 진행되는 1차 단계 평가에서 4곳으로 압축되고, 이후 6개월마다 단계적으로 최고의 정예팀을 남기게 된다. 1차 평가는 연말 대국민 평가 및 전문가 검증 결과, AI 안전성과 연계된 성능 지표(벤치마크), 파생 AI 모델 개수 등을 토대로 이뤄질 계획이다.

X
'K-AI' 앰블럼 사용례. 과기정통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