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취 말썽' 광주 SRF 운영사, 소각 시설 철거하고 세정탑 설치(종합)
시민대책위 "악취 제거 방식 변경으로 피해 더 커져"
X
광주 남구 양과동 광역위생 매립장 내 가연성폐기물 연료화시설(SRF)을 운영하는 포스코이앤씨가 악취 제거 효과가 뛰어난 소각시설을 지난해 철거한 사실이 확인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소각시설 철거하고 약액세정탑 설치
9일 광주 양과동 SRF 악취개선 민관합동 전담팀(TF)에 따르면, 포스코이앤씨는 지난해 4월 기존 소각시설을 철거하고 약액세정탑을 새로 설치하는 데 30억원을 투입했다.
포스코이앤씨는 소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백색 연기로 인한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자 악취 제거 방식을 변경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4일 SRF 실사를 나온 TF에서 회사 측은 "하얀 연기를 보고 불법 소각이 이뤄지는 것 아니냐는 민원이 있어서 제거 방식을 변경했다"고 밝혔다.
소각 vs 약액세정, 효과 차이 존재
전문가들에 따르면 악취 제거 방법은 크게 소각과 약액세정 두 가지로 나뉜다. 소각 방법은 악취 유발 물질의 분자 연결고리를 불에 태워 끊어내는 방식으로 효율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반면 약액세정 방법은 악취에 포함된 물질의 pH 값에 따라 산성(차아염소산)이나 염기성(가성소다) 물질을 이용해 중화시키는 방식이다. 악취 관련 전문가들은 복합 성분으로 이뤄진 악취의 경우 소각 방법이 세정 방법보다 우수하다는 데 의견을 모으고 있다.
시민단체 "불법 행위 조사해야"
67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포스코의 시민혈세 강탈 시도 저지 광주시민대책위'는 이날 성명을 통해 "포스코이앤씨가 운영 비용 절감을 이유로 냄새 제거 성능이 탁월한 소각시설을 없애고 한계가 있는 세정탑을 설치했다"고 비판했다.
시민단체는 또 "광주시는 포스코이앤씨의 불법 행위가 있었는지 철저하게 조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포스코이앤씨 "운영 안정성 고려한 결정"
이에 대해 포스코이앤씨 관계자는 "악취를 소각하는 것보다는 약액세정과 활성탄 흡착 방법이 운영상 더 안정적이기 때문에 변경했다"고 해명했다.
회사 측은 "설비 변경에 30억원 이상이 투입됐기 때문에 운영 비용 절감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법적 기준치 초과 악취로 가동 중단
해당 SRF에서는 지난 6월부터 법적 기준치를 초과하는 복합 악취가 여러 차례 측정되며 주민들의 건강권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현재 인근 주민, 광주시, 남구, 시의회, 구의회, 환경 전문가로 구성된 TF가 대책 마련에 나섰으며, 포스코이앤씨는 악취 저감을 위한 설비 보수와 시설 신설을 이유로 오는 19일까지 SRF 가동을 중단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