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서울특별시청 로고

서울시가 지하철역 주변 역세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발이 뒤처진 비(非)역세권 지역의 성장 잠재력을 발굴하는 종합 전략을 추진한다.

시는 10일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비역세권 지역을 전면 조사·분석해 '성장잠재권 지역 활성화 전략'을 마련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조사의 핵심은 대중교통 접근성, 기반시설, 지역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발전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선별하는 것이다.

시는 특히 △역세권과 비역세권 간 연계성 △노후 건축물이 집중돼 있지만 유동 인구가 풍부한 지역 △대중교통·생활 사회간접자본(SOC)·녹지공간 확충 가능성 등을 중점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사 대상은 지하철역은 없지만 대중교통, 기반시설 등 입지 여건이 양호한 지역 중 노후화가 진행된 곳들이다.

시는 이들 지역에 대해 주거·상업 기능 공급과 생활 SOC 확충, 보행환경 및 녹지공간 개선 등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아울러 성장 잠재력이 높은 지역을 최종 선정해 내년에 구체적인 활성화 모델을 개발하고 실제 사업화까지 연결될 수 있도록 뒷받침할 예정이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이번 조사가 그동안 상대적으로 소외됐던 지역을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미래 성장거점으로 탈바꿈시킬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조 본부장은 이어 "시민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새로운 도시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