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X
코스피가 장중 사상 최고점 3,316.08(2021년 6월 25일)을 넘어선 10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가 표시돼 있다.
코스피 지수가 장중 한때 3,317.77까지 올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10일 오후 2시 23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장보다 57.72포인트(1.77%) 오른 3,317.77로 집계됐다.
2021년 6월 25일 기록된 기존 장중 사상 최고점인 3,316.08을 4년여만에 넘어선 것이다.
지수는 전장보다 12.15포인트(0.37%) 오른 3,272.20으로 거래를 개시한 뒤 등락을 거듭하며 이날 종일 지속적으로 사상 최고점 돌파를 시도했다.
장 마감이 근접하면서 상승폭이 다소 줄긴 했으나 결국 전장보다 54.48포인트(1.67%) 오른 3,314.53으로 거래를 마쳤다. 종가로도 기존 최고치(3,305.21, 2021년 7월 6일)를 깼다.
주요 동력은 외국인 매수세였다.
외국인은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1조3천811억원을 순매수했고, 코스피 200 선물 시장에서도 4천985억원 매수 우위를 보이며 사흘 연속 현·선물 동반 순매수를 이어갔다.
차익실현에 나선 개인은 2조2천545억원을 순매도했지만, 외국인뿐 아니라 기관도 9천29억원 매수 우위를 보였던 까닭에 지수 상승을 멈추는 결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X
코스피가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10일 오후 부산 남구 한국거래소에서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축하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에 간밤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상황과, 주식 양도소득세 과세 대상인 '대주주' 기준을 50억원으로 되돌리려는 듯한 정부의 움직임이 한국 증시에 대한 투자심리를 크게 강화했다고 보고 있다.
이재원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달 한국 주식시장 횡보의 원인은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관련 매파적 움직임에 대한 우려와 (한국 정부의) 세제개편안 등 정책에 대한 실망감, 오픈AI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의 '인공지능(AI) 버블론' 발언으로 촉발된 AI에 대한 의구심이었지만 이제는 세 가지 요인 모두가 완화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책 기대감이 무너져 피해를 봤던 증권, 지주 등의 반등이 지속되는 흐름"이라면서 "이제 하방 요인은 16∼1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의 금리 인하가 (침체 예방을 위한) '보험'이 아닌 실제 '침체'로 인한 성격이 있다거나 관련 우려가 강조되는 경우가 될 것인 만큼 지속적 관찰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