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가 한라산 북쪽 절벽에서 검독수리의 번식 둥지를 발견했다고 17일 발표했다. 지름 약 2m, 높이 약 1.5m 규모의 이 둥지는 1948년 이후 77년 만에 국내에서 확인된 검독수리 번식지다.
발견의 계기는 작년 7월 한라산 북쪽에서 구조된 어린 검독수리와 주민들의 목격담이었다. 생태원 연구진은 이를 바탕으로 최근까지 조사를 진행해 왔다.
검독수리 가족의 생생한 모습 포착
연구진은 지난 5월 망원렌즈를 이용해 약 200m 떨어진 지점에서 둥지 내 검독수리 부부와 새끼 한 마리의 모습을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 검독수리 가족은 지난 7월 둥지를 옮긴 것으로 확인되었다.
관찰된 검독수리 성체는 6세 이상으로 추정되며, 새끼의 성별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둥지는 마른 나뭇가지로 제작되었으며, 안쪽에는 마른 풀잎과 푸른 솔가지가 깔려 있었다.
77년 전 마지막 번식 기록과의 비교
검독수리 번식 둥지와 새끼가 함께 발견된 것은 1948년 4월 미군 장교가 경기 남양주시 예봉산과 천마산에서 확인한 이후 처음이다. 비록 그동안 검독수리가 관찰된 적은 있었지만, 번식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유일하다.
검독수리는 넓은 구역에 여러 둥지를 두고 활용하는 습성이 있지만 번식지는 잘 바꾸지 않는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생태원은 앞으로도 이번에 발견된 둥지에서 번식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X
'천연기념물' 검독수리 번식 둥지 국내서 77년만에 발견. 환경부 제공
천연기념물 검독수리의 생태적 가치
검독수리는 날개를 완전히 펼쳤을 때 길이가 2m가 넘는 대형 맹금류다. 세계적으로는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등 북반구에 서식하며, 국내에서는 겨울철 산과 습지 주변에서 드물게 관찰되어 왔다.
이들은 사슴, 토끼, 고라니 등 포유류와 오리, 꿩 등 조류를 사냥하며, 먹이가 부족할 때는 사체도 섭취한다. 1~2월에 1~4개의 알을 낳아 44~45일간 품으며, 부화한 새끼를 기르는 기간은 70~102일 정도다.
검독수리는 1973년 천연기념물로, 2012년에는 1급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이창석 국립생태원장은 "검독수리의 번식 둥지 발견은 학술적으로나 역사적으로 가치가 크다"며 "제주도 등 관계기관과 협업해 검독수리 서식지 보호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X
한라산 북쪽 절벽의 둥지에 있는 검독수리. 국립생태원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