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30일 정부세종청사 6동에서 환경부 간판을 기후에너지환경부로 변경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다.

기후·환경과 에너지 정책을 모두 다루는 '공룡부처'인 기후환경에너지부(기후부)가 10월 첫날 출범한다.

30일 환경부에 따르면 이날 국무회의에서 '기후에너지환경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제정령'이 의결되는 등 기후부 출범을 위한 정부 조직 개편 절차가 마무리됐다.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 부문 중 자원 담당을 제외한 부분이 환경부로 이관되면서 만들어지는 기후부는 '2차관, 4실, 4국·14관, 63과'로 구성된다.

현재 환경부(1차관, 3실, 3국·9관, 47과·5팀)보다 규모가 대폭 확대되는 것이다.

1차관이 부처 운영과 물 정책, 기후를 제외한 환경 정책을 맡는다.

2차관은 기후와 에너지 정책을 담당한다.

2차관 아래에는 '기후에너지정책실'과 '에너지전환정책실'이 배치됐다.

기후에너지정책실에 기후에너지정책관·녹색전환정책관·수소열산업정책관·국제협력관, 에너지전환정책실에 전력산업정책관·전력망정책관·재생에너지정책관·원전산업정책관이 배치된다.

일반적으론 기획조정실을 산하에 두고 부처 운영 전반을 관할하는 1차관 쪽에 힘이 더 실리는 경우가 많지만, 기후부의 경우 초반엔 부처 출범 이유인 기후와 에너지 정책을 맡는 2차관 쪽에 무게추가 실릴 것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기후부를 이끌 김성환 장관도 에너지 쪽에 힘을 싣는 행보를 예고했다.

김 장관은 기후부 출범 직후인 2일 경기 의왕시 전력거래소 의왕지사를 찾아 '가을철 경부하기 대비 비상대책회의'를 진행한다.

발전량이 수요보다 많은 경우에도 전력망이 불안정해지는데, 이번 추석 연휴가 길어 '과잉발전'에 따른 전력망 안정 조처가 필요한 상황이다.

정부는 가을철 경부하기 발전량 조정을 위해 '석탄단지와 공공기관 자가용 태양광 운영 최소화와 원자력발전 정비일정 조정 등을 추진하고 수요량을 증대하기 위해 태양광 연계 에너지저장장치(ESS) 충전 시간 조정 등을 추진한다./연합뉴스

X
기후에너지환경부 조직도. [정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