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한국의 산림. 산림청 제공

충남도가 산림을 기후위기 대응과 지역경제 성장의 핵심 자원으로 육성하기 위한 장기 종합계획을 내놓았다.

충남도는 19일 ‘산림으로 잘 사는 충남’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2026년부터 2045년까지 20년간 5조7천689억 원을 투입하는 ‘충남형 미래 산림전략’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이번 전략은 산림을 단순한 환경자원에서 벗어나 경제·복지·안전의 통합 기반으로 전환하기 위한 중장기 로드맵이다.

도는 ▲기후위기 대응 탄소숲 ▲소득을 키우는 산림 ▲휴식을 품은 산림 ▲사계절 안전한 산림 등 4대 전략 아래 27개 세부 과제를 추진한다.

우선 ‘탄소숲 조성’ 전략에서는 편백, 삼나무, 상수리 등 고부가가치 수종을 집중적으로 조림해 고부가가치 수종 비율을 현재 52%에서 82%로 높일 계획이다. 현재 연간 109만5천 톤 수준인 산림 탄소흡수량은 151만4천 톤으로 38% 늘릴 방침이다.

‘소득을 키우는 산림’ 부문에서는 알밤을 대표 임산물로 집중 육성하고, 임산물 지능형 생산단지(스마트팜)를 조성해 임가 소득을 현재보다 60% 높은 연 6천만 원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국제밤산업박람회’ 개최와 ‘국립밤연구센터’ 유치를 병행해 충남 임산물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휴식을 품은 산림’에서는 고령화 시대를 대비해 산림치유 프로그램과 의료 서비스를 융합한 실버웰니스형 치유산림 모델을 구축하고, 산림레포츠 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한다.

‘사계절 안전한 산림’ 구현을 위해서는 드론·열영상 카메라를 활용한 스마트 산불예방 및 진화체계를 확립하고, 산사태 예·경보 시스템의 과학적 고도화를 추진한다. 또한 국립 서해안 산불방지센터와 충남 산림재난 대응센터 설치도 병행한다.

이와 함께 충남도는 산림전략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5가지 주요 세부과제를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1. 도민 참여형 ‘탄소상쇄형 숲 조성 사업’: 주민이 직접 나무심기·간벌에 참여하여 연간 10만 톤의 탄소감축 효과를 창출.

2. ‘임산업 6차 산업화 클러스터’ 조성: 생산–가공–체험–관광을 연결하는 임업 복합사업 거점 구축.

3. 도립 산림바이오소재센터 설립: 버섯균사, 목질계 신소재 등 산림기반 바이오산업 육성 및 기술 상용화 추진.

4. ‘충남형 산림복지벨트’ 구축: 청양·예산·공주를 잇는 산림휴양권역 조성으로 연간 500만 명 관광객 유치 목표.

5. ‘스마트산림재난통합관제시스템’ 운영: 센서·AI 기반으로 산불·산사태·병해충 상황을 실시간 감시하고, 소방·도로·기상정보와 연계한 지자체 대응력을 제고.

충남도는 이번 전략과제를 통해 산림자원을 단순 보호 대상으로 보지 않고, 기후위기 대응, 산업화, 복지, 안전이 융합된 ‘산림복합경제권’을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박정주 충남도 행정부지사는 “이번 20년 미래산림 전략은 숲의 생태적 가치뿐 아니라 경제적·사회적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토대가 될 것”이라며 “충남의 산림이 기후위기 대응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하는 핵심 동력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