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용 송이와 비슷하게 생긴 독버섯을 구별못하면 중독 사고 위험이 크다.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추석을 앞두고 성묘객과 등산객이 늘면서 송이버섯과 혼동하기 쉬운 독버섯으로 인한 중독 사고가 우려된다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야생버섯 중독사고의 대부분은 식용버섯과 독버섯을 구별하지 못해 발생한다. 특히 송이와 비슷한 외형을 가진 ▲광비늘주름버섯(대에 상처를 내면 노란색으로 변함), ▲담갈색송이(갓에 상처를 내면 갈색으로 변함), ▲금빛송이, ▲할미송이, ▲독송이 등은 잘못 채취해 섭취할 경우 인체에 심각한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

독버섯으로 구분되는 담갈색송이.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최근에는 온라인이나 인공지능(AI) 생성정보에서 일부 독버섯이 식용·약용 버섯으로 잘못 소개되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어, 무분별한 정보 의존에 따른 위험이 더욱 커지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중독사고 발생 시 ▲구토 ▲복통 ▲설사 등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찾아야 하며, 남은 버섯이나 토사물을 반드시 함께 가져가야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가능하다고 안내했다.

금빛송이가 식용·약용 버섯으로 잘못 소개되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국립 산림과학원 제공

산림미생물이용연구과 박응준 과장은 “야생 버섯은 눈으로만 즐기고, 식용 버섯은 반드시 믿을 수 있는 곳에서 구매해야 한다”며 “특히 송이와 닮은 독버섯으로 인한 중독사고가 반복되지 않도록 주의해 달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