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카카오 '플레이MCP'에 '도구함' 기능 추가. 카카오 제공

카카오가 개방형 플랫폼 기능을 대폭 강화하며 인공지능(AI) 서비스 확장에 나섰다.

지난 7월 공개한 MCP 기반 '플레이MCP'에 '도구함' 기능을 새롭게 추가, 이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외부 AI 서비스와의 연동을 강화한다.

카카오는 24일, AI 모델과 외부 시스템 간의 표준 통신 규약인 MCP(Multi-Channel Protocol)를 기반으로 하는 개방형 플랫폼 '플레이MCP'에 '도구함(Toolbox)' 기능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이는 AI가 단순한 대화 상대를 넘어 사용자의 실제 일상을 이해하고 실행하는 '일상 AI(Daily AI)'로 진화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전망이다.

이용자 맞춤형 '도구함' 도입... 외부 연동 절차 간소화

새롭게 도입된 '도구함' 기능의 가장 큰 특징은 이용자가 직접 다수의 MCP 도구를 선택하여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게 한 점이다. 이를 통해 이용자는 플레이MCP에 등록된 카카오의 다양한 서비스(카카오톡, 멜론, 카카오 T 등) 관련 AI 도구를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이 도구함은 챗GPT나 클라우드 등 외부 AI 서비스에서도 카카오 계정 인증만으로 즉시 사용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이는 AI 서비스 간의 연동 절차를 획기적으로 간소화하여 이용자 편의성을 높인다.

이용자는 카카오 계정으로 인증한 후, 외부 AI 서비스에서 "방금 알려준 내용 카카오톡 나와의 채팅방에 보내줘", "오늘 내 일정 알려줘", "내가 받은 선물 목록 보여줘" 등과 같은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AI, 단순 대화 넘어 실행으로"... 생태계 확장 기대

도구함 사용을 위해서는 플레이MCP 사이트에 접속해 원하는 MCP 도구를 '도구함'에 추가해야 하며, 이후 챗GPT 등 외부 서비스에서 '개발자 모드'를 통해 맞춤형 MCP 서버 URL 등록 및 도구함 인증 과정을 거치면 된다.

유용하 카카오 AI에이전트플랫폼 성과리더는 "이 도구함 기능은 AI가 단순한 대화 상대를 넘어 사용자의 실제 일상을 이해하고 실행하는 '일상 AI'로 진화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개방형 플랫폼 전략을 통해 카카오의 AI 생태계를 더욱 확장하고 이용자들에게 혁신적인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