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파주 교하지구 [연합뉴스 자료사진]

경기 파주시는 경제자유구역(이하 경자구역) 지정을 위한 예산을 확보하고 기업 유치를 위한 콘퍼런스를 추진하는 등 경자구역 지정을 향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선다고 11일 밝혔다.

시는 지난해 12월, 운정신도시와 인접한 교하동 일원 5.43㎢ 부지를 미디어콘텐츠, 디스플레이, 첨단 의료 바이오산업 거점으로 키운다는 구상으로 '파주 경제자유구역 기본구상(안)'을 마련했으며, 이를 토대로 올해 4월 경기경제자유구역청으로부터 후보지로 선정됐다.

경기경제자유구역청은 파주시와 함께 수원, 의정부시도 경자구역 후보지로 지정했다.

파주시는 후보지 선정 이후, 파주시만의 차별화된 개발계획을 마련하기 위해 10일 '2025년도 제3회 추가경정예산'에 용역비(7억원) 편성을 마쳤으며, 다음 달부터 용역 착수 작업에 돌입할 계획이다. 용역 기간은 18개월가량 소요될 전망이다.

아울러 오는 11월에는 경자구역에 입주할 전략산업 관련 기업 및 기관을 대상으로 '파주 경제자유구역 콘퍼런스'를 열어 입주 의향 확보에 나설 예정이다.

파주시는 2027년 3월 용역작업이 끝나는 대로 기업 입주수요 확보 등 투자유치 활동을 추진해 2027년 상반기에 산업통상자원부에 경자구역 지정 신청을 마칠 계획이다.

경제자유구역은 외국인 투자기업 및 국내 복귀 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특별경제 구역으로 지정 시 '수도권정비계획법'상 공장총량 등 법적 규제가 완화되고, 입주기업은 조세감면, 보조금 지원, 입지 지원 등 행정·재정적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또, 주거단지, 관광단지, 체육시설 등 복합개발이 가능하다. 특히, 수도권 내에서 외국교육기관 설립이 허용되는 사실상 유일한 구역으로 교육·의료 등 생활 인프라 개선 효과도 크다.

정해오 파주시 평화경제과장은 "경제자유구역 개발을 통해 첨단산업 중심의 산업구조 전환과 함께, 접경지역의 취약한 주거·상업·교육·의료 인프라를 아우르는 복합개발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