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회사를 하는 이노그리드 김명진 대표
국내 최대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컨퍼런스 ‘IC3 2025’가 12일 서울 삼성동 파르나스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성대하게 개최됐다.
이노그리드가 주최한 이번 행사에는 1,200여 명의 업계 관계자들이 모여 기술 혁신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확인했다.
AI·클라우드·양자컴퓨팅 총망라
올해 ‘IC3 2025’는 ‘이노그리드가 그리는 AI·클라우드 유니버스’를 주제로, 인공지능(AI), 클라우드, 양자컴퓨팅, 디지털 트윈, 초연결 인프라 등 미래 핵심 기술을 한자리에 모았다.
슬로건인 ‘AI·클라우드·미래 기술, 그 사이의 연결을 말하다’ 아래, 차세대 기술 생태계 구축과 산업·사회 전반의 혁신적 변화 방향을 심도 있게 다뤘다.
‘IC3 2025’가 12일 서울 삼성동 파르나스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성대하게 개최됐다.
주최사인 이노그리드 김명진 대표는 환영사에서 “IC3 2025는 기술·사람·산업이 함께 성장하는 플랫폼으로, AI·클라우드 중심의 혁신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됐다”고 소감을 밝혔다. 그는 이어 "AI가 데이터센터 운영의 핵심이 되는 시대"임을 강조하고, "AI와 클라우드 생태계 중심의 경영, 기술 중심 회사로서의 정체성 유지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어 "이노그리드는 국산 기술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AI·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할 것"을 강조했다.
이노그리드 선승한 전무
기조세션서 국내외 비전 제시
오전 기조세션 1부에는 이노그리드 선승한 전무가 ‘AI 시대의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의 방향’을 주제로, 진화하는 데이터센터와 지능형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선 전무는 "데이터센터가 더 이상 하드웨어의 집합이 아닌 AI 기반 지능형 인프라로 진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폭발적인 데이터 증가와 전력 수요 속에서 효율적 에너지 관리와 통합 운영 관리의 중요성을 역설한 뒤 "AI 기반 통합 관리 체계를 통해 시설·보안·성능·재해복구까지 하나의 플랫폼으로 연결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반일권 이노그리드 이사는 “GPU가 AI 워크로드를 위한 핵심 클라우드 인프라로 부상했다”며, 미래에는 데이터·모델·GPU 자원을 통합 관리하는 AI 네이티브 인프라가 필수임을 역설했다.
오명준 이노그리드 상무는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EDA)와 클라우드 풀스택 기술 결합, 자율 시스템 구현 사례를 소개해 주목받았다. 오 상무는 GPU 시대의 파스(PaaS)와 데브옵스(DevOps) 혁신 전략을 설명하며, 클라우드의 중심이 CPU에서 AI 연산 중심의 GPU 인프라로 이동하고 있음을 짚었다. AI 네이티브 환경에서는 코드 중심 개발을 넘어 데이터·모델·GPU 자원이 통합된 지능형 자동화 구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경범 네이버클라우드 상무가 ‘소버린 AI 시대의 실행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국가와 기업의 AI 주권 확보 중요성 강조
오전 기조세션 2부에서 유경범 네이버클라우드 상무는 ‘소버린 AI 시대의 실행 전략’을 주제로, 국가와 기업의 AI 주권 확보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들이 AI 액션플랜을 통해 자국 중심의 데이터와 인프라를 강화하고 있다"며, "한국도 독자적 AI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네이버클라우드는 ‘클로바X’ 등 자체 모델과 세종·춘천 데이터센터를 기반으로 국산 AI 인프라를 확립하고 있다고 소걔했다. 그는 “소버린 AI는 고립이 아닌 자주권 기반의 협력”이라며, 국가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기술 투자와 파트너십 확대를 약속했다.
미국 밴티크사의 미구엘 너치 CRO
미국 밴티크사의 미구엘 너치 CRO는 '스마트 시티로부터 안전한 사회까지'란 제목의 강연에서 "생성형 AI와 에이전트 AI는 인간 언어 이해를 넘어 실제 세계 문제 해결에 통합되며 산업 혁명에 비견될 영향력을 가진다"고밝혔다. 그는 이어 "밴티크는는 실시간 데이터 처리와 AI 오케스트레이션을 통해 재난 관리, 스마트 도시, 공공 안전 등 미션 크리티컬 환경에서 솔루션을 제공한다"며 일본의 재난 관리 시스템과 중동의 스마트 도시 사례를 소개했다.
AI, 클라우드, 미래기술…세 개 트랙 심층 논의
오후 세션은 AI, 클라우드, 미래기술 등 3분야로 나눠 21명의 전문가들이 강의에 나섰다.
AI트랙에서는 ISTN, 비아이매트릭스, 로이드케이, 마드라스체크 등 기업이 AI 데이터센터, 초고속 반도체, 대규모 언어 모델(LLM), 검색증강생성(RAG) 기반 서비스 등 실제 비즈니스 도입 사례를 대거 공개했다.
클라우드 트랙에서는 STEG, 네이버클라우드, 비즈플레이 등이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CMP(클라우드 관리 플랫폼), 보안 자동화와 GPU 인프라 최적화 기술을 집중 조명했다.
미래기술 트랙에서는 SDT, 위엠비, 엑솔, KTNF, KISTI 등이 양자컴퓨팅, 분산 인프라와 데이터센터, 특화 하드웨어 등 차세대 연산 기술의 미래 비전을 제시했다.
AI트랙에서 김은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본부장은 ‘미래 AI 전략’을 주제로 한 강연에서 우리나라가 주목해야 할 5대 AI 핵심 분야를 제시했다. 그는 첫째로 현대차·NVIDIA·아마존 사례를 들어 글로벌 기술 협력(합종연횡)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둘째로 산업별 특화 지식에 기반한 버티컬 AI가 한국의 경쟁력이 될 것이라 밝혔다.
셋째로 산업 디지털화 수준이 높은 한국이 에이전틱 AI(Agentic AI) 발전에 최적 환경을 갖췄다고 평가했다. 이어 양자 AI와 클라우드 융합, 우주 AI 데이터센터를 차세대 전략으로 제시하며, “AI의 새로운 성장 공간은 여전히 넓고, 한국은 그 중심에 설 잠재력이 있다”고 말했다.
다양한 기업·기관 참여, R&D 확장 전략 공유
이노그리드는 2009년 이래 축적해온 클라우드 기술력과 성공사례를 기반으로, AI 데이터센터, 로보틱스, 양자컴퓨팅 등으로 연구개발(R&D)에 진력을 다해왔다.
올해 행사에서는 네이버클라우드, 밴티크 등 다수 IT 기업의 현장 사례발표도 이목을 끌었다. 외산 소프트웨어 정책 변화 대응, 차세대 GPU 시대, AI 에이전트 기반 CMP와 클라우드 가상화 등 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다양한 관점에서 조명했다.
참가자들은 “AI와 클라우드는 단순 개별 기술을 넘어 서로 융합하고, 미래 기술로 확장해 나가는 시대”라며, “이번 행사는 기술과 산업, 사람과 미래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IT 혁신의 장으로 산업계에 신선한 충격과 동기를 주었다”고 평가했다.